마크 주커버그(Mark Zuckerberg) : 메타 플랫폼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스레드
마크 주커버그(Mark Zuckerberg) : 메타 플랫폼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스레드 [IT썰] 스레드, 1년만에 월 1.75억명 넘겼다…저커버그 '자축' 머니투데이. 성시호 기자 2024. 07. 04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70406561551974 [IT썰] 스레드, 1년만에 월 1.75억명 넘겼다…저커버그 '자축' - 머니투데이메타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스레드(Threads)'가 서비스 개시 1년여 만에 1억7500만명 이상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를 확보했다.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최고경영자)는 3일(미국시간) 자신의 스레드news.mt.co.kr '스레드' 가입자 5일만에 1억명 돌파…저커버그 "머스크 보고있나" ..
2024. 7. 12.
파리바게뜨 '제주마음샌드' : 우도 땅콩, 한정판 마케팅(limited-edition marketing), 헝거 마케팅(Hunger marketing) 전략, 희소성
파리바게뜨 '제주마음샌드' : 우도 땅콩, 한정판 마케팅(limited-edition marketing), 헝거 마케팅(Hunger marketing) 전략, 희소성 한정판 마케팅(limited-edition marketing)은 상품의 판매 수량을 한정함으로써 상품의 희소성이 소비가의 흥미를 끌어 들이는 효과를 노리는 마케팅 전략이다. 한정판 마케팅은 헝거 마케팅(Hunger marketing)으로도 불린다. 상품을 한정적으로 판매함으로서 상품의 희소성이 소비자를 굶주리게 만들어 소비자의 흥미를 끌고, 상품가치를 높여, 충동구매를 유도하는 전략이다. 기법으로는 한정재고(limited stock), 시간 한정(time limits), 특별할인(special discounts) 등을 사용한다. SPC..
2024. 7. 7.
7080 애창곡 : 가수 김성호, 김성호의 회상, 당신은 천사와 커피를 마셔본 적이 있습니까 , 찬바람이불면, 풍선, 나는 문제없어 작곡
7080 애창곡 : 가수 김성호, 김성호의 회상, 당신은 천사와 커피를 마셔본 적이 있습니까 , 찬바람이불면, 풍선, 나는 문제없어 작곡 김성호(1959 ~ )는 가수, 작곡가, 및 작사가로 중앙대 건축미술학과 77학번으로 입학하여 중앙대 밴드 '블루드래곤' 1기로 활동하였다. 1978년 제1회 TBC해변가요제에서 '내 단하나의 소원'으로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1989년 1집 앨범 '김성호의 회상'을 발매하였다. 주로 작곡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표작으로 김지연의 '찬바람이 불면', 다섯손가락 '풍선', 황규영 '나는 문제없어', 박성신 '한번만 더', 박영미 '나는 외로움 그대는 그리움', 박준하 '너를 처음 만난 그 때' 등이 있다. 김성호의 회상은 2021년 KBS전주 방송국에서 진행하는 '백투더..
2024. 7. 7.
제주 성읍마을(濟州 城邑마을) : 서귀포시 표선면 민속마을, 국가민속문화재, 정의읍성, 일관헌(日觀軒), 느티나무, 팽나무, 정의읍성 남문, 고택(가옥), 카페
제주 성읍마을(濟州 城邑마을) : 서귀포시 표선면 민속마을, 국가민속문화재, 정의읍성, 일관헌(日觀軒), 느티나무, 팽나무, 정의읍성 남문, 고택(가옥), 카페 제주 성읍마을(濟州 城邑마을)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민속마을로, 1984년 대한민국 국가민속문화재 제188호로 지정되었다. 1984년 당시에는 성읍 민속마을(城邑 民俗마을)로 지정되었다가, 2017년 현재의 명칭인 '제주 성읍마을'로 변경되었다. 이 곳은 마을 전체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5개 가옥이 제주도 가옥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제주 성읍마을은 50여 가구에 실제 사람이 살고 있으며 입장료없이 마을에 들억갈 수 있으며 차량도 출입이 가능하다. 성읍마을..
2024. 7. 6.
제주 : 아부오름(前岳),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 있는 오름(측화산, 기생화산), 높이 301m
제주 : 아부오름(前岳),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 있는 오름(측화산, 기생화산), 높이 301m제주의 아부오름(前岳)은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에 있는 301m 높이의 오름(측화산, 기생화산)으로 원형의 대형 분화구 안에는 나무가 자라고 있다. 아부오름은 예로부터 마을의 앞쪽 즉 남쪽에 있는 오름이라하여 ‘압오름’으로 불렸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전악(前岳)으로 표기하고 있다. 압오름은 아보롬, 아부름, 아보오름, 아부오름 등으로 불리면서 현재는 '아부오름'으로 표기하고 있다. 한자 차용 표기는 에 '압악(狎岳)', 와 , 등에 '전악(前岳)', 에 '아부악(亞父岳)'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아부오름은 5~10분 정도면 오를 수 있는 등반이 쉬운 오름이다. 근처 구좌읍 평대리에는 비자나무 군락인 비자..
2024. 7. 6.
제주도 섭지코지 :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해안, 드라마, 영화 촬영지 <올인> , 선돌바위, 흰색은 가마우지 새의 똥
제주도 섭지코지 :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해안, 드라마, 영화 촬영지 , 선돌바위, 흰색은 가마우지 새의 똥제주도 섭지코지는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해안으로 제주 방언으로 섭지는 '좁은 땅'이라는 의미이며, 코지는 '곶'이라는 의미이다. 여명의 눈동자, 단적비연수, 거침없이 하이킥, 런닝맨, 올인 등 여러 드라마, 영화의 촬영지로 유명하다. 바다에 우뚝선 바위는 '선돌바위'이며 바위의 꼭대기가 흰색으로 보이는 것은 가마우지 새의 똥 때문이라고 한다.
2024. 7. 1.
제주 방주교회 : 노아의 방주, 제주 포도호텔과 함께 재일 한국인 이타미 준(伊丹潤, 한국명 유동룡, 庾東龍) 작품
제주 방주교회 : 노아의 방주, 제주 포도호텔과 함께 재일 한국인 이타미 준(伊丹潤, 한국명 유동룡, 庾東龍) 작품 제주 방주교회는 제주 포도호텔과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이자 재일 한국인 이타미 준(伊丹潤), 한국명 유동룡(庾東龍, 1935년 5월 12일~2011년 6월 26일)의 작품이다. 이타미 준(伊丹潤)은 1937년 도쿄 출생으로 1968년 무사시 공업대학(현 도쿄도시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했으며, 주요 건축물로 제주 포도호텔, 제주 방주교회, 온양민속박물관내 구정아트센터, 경주타워, 일본 홋카이도 석채의 교회 등이 있다. 방주교회는 무인 전동차와 전기버스를 생산하는 중견기업 우진산전의 김영창 회장이 자신의 땅과 65억원의 건축비 전액을 희사하여 2009년 3월 16일 제주도서귀포시안덕면 창천..
2024. 7. 1.
제주 포도호텔(Podo Hotel) : 제주 방주교회와 함께 재일 한국인 이타미 준(伊丹潤, 한국명 유동룡, 庾東龍) 작품
제주 포도호텔(Podo Hotel) : 제주 방주교회와 함께 재일 한국인 이타미 준(伊丹潤, 한국명 유동룡, 庾東龍) 작품 제주 포도호텔은 제주 방주교회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이자 재일 한국인 이타미 준(伊丹潤), 한국명 유동룡(庾東龍, 1935년 5월 12일~2011년 6월 26일)의 작품이다. 이타미 준(伊丹潤)은 1937년 도쿄 출생으로 1968년 무사시 공업대학(현 도쿄도시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했으며, 주요 건축물로 제주 포도호텔, 제주 방주교회, 온양민속박물관내 구정아트센터, 경주타워, 일본 홋카이도 석채의 교회 등이 있다. 포도호텔은 핀크스 클럽하우스에 제주도의 오름과 전통적인 제주도의 초가집에서 영감을 받아 단층으로 만든 총 26개의 객실로 이루어진 호텔로서 하늘에서 내려다 보면 지붕이 ..
2024. 7. 1.
제주 문주란(文珠蘭) : 수선화과, 학명 Crinum asiaticum, 제주시 구좌읍,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19호
제주 문주란(文珠蘭) : 수선화과, 학명 Crinum asiaticum, 제주시 구좌읍,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19호 문주란(文珠蘭)은 주로 제주도에서 자라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학명은 Crinum asiaticum이다. 이름에는 란으로 불리지만 난초과가 아닌 수선화과에 속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주란은 피부병 치료와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한다. '동숙의 노래', '공항의 이별' 등으로 유명한 가수 문주란은 본명이 문필연(1949년 9월 30일 ~ )이지만 예명으로 문주란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2024.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