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정선 : 민둥산(1118.8m), 억새 군락지, 민둥산 억새꽃 축제, 돌리네(doline) 지형, 가을 억새 산행지, 철도 산행지
강원도 정선 : 민둥산(1118.8m), 억새 군락지, 민둥산 억새꽃 축제, 돌리네(doline) 지형, 가을 억새 산행지, 철도 산행지 민둥산(1118.8m) 일대는 억새 군락지가 유명하며, 민둥산 억새꽃 축제가 개최되어 가을 억새 산행지로 유명하며, 철도를 따라 여행할 수 잇는 철도 산행지로 유명하다. 민둥산의 정상 주변에는 카르스트 지형에서 석회암 용식(溶蝕) 작용으로,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물에 녹으면서 깔때기 모양으로 패인 웅덩이를 형성하며, 이러한 와지 안에서 경작 가능한 토양이 발달할 정도 크기가 형성되는 돌리네(독일어: doline) 지형이 발달하였다. 2025
2025. 10. 17.
경남 합천 : 가야산 해인사(海印寺), 일주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팔만대장경), 세계문화유산(장경판전), 대적광전(大寂光殿), 비로자나삼존불, 법보사찰
경남 합천 : 가야산 해인사(海印寺), 일주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팔만대장경), 세계문화유산(장경판전), 대적광전(大寂光殿), 비로자나삼존불, 법보사찰 법보사찰 :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는 고려 제조대장경(팔만대장경)대적광전 :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전각장경판전 :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전각대비로전 : 쌍둥이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이다. 국사단 : 산신과 토지신을 모신 곳이다.[20] 구광루 해인범종 국보국보 제32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국보 제52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국보 제206호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국보 제333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국보 52호 장경판전 국보 52호 장경판전 국보 206호 고려목판 국보 206호 고려목판 국보 333호 건칠 희랑대사 좌상 국보 333호..
2025. 10. 17.
포천 : 한탄강, Y자형 출렁다리, 2024년 9월 개통, 국내 최장 410m, 한탄강 생태 경관 단지, 한탄강 하늘다리와 비둘기낭폭포, 가람 누리 전망대 등 3곳에서 접근
포천 : 한탄강, Y자형 출렁다리, 2024년 9월 개통, 국내 최장 410m, 한탄강 생태 경관 단지, 한탄강 하늘다리와 비둘기낭폭포, 가람 누리 전망대 등 3곳에서 접근
2025. 10. 17.
영국 : 케임브리지대(University of Cambridge), 캠강(River Cam), 뉴턴의 사과나무(Newton's Apple Tree), 한숨의 다리(Bridge of Sighs), Clare Bridge(클레어 다리)
영국 : 케임브리지대(University of Cambridge), 캠강(River Cam), 뉴턴의 사과나무(Newton's Apple Tree), 한숨의 다리(Bridge of Sighs), Clare Bridge(클레어 다리)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는 영국 잉글랜드 런던에서 북쪽으로 80km 떨어진 캠 강(River Cam) 강가에 1209년 설립한 영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 31개의 칼리지로 구성되어 있다. 졸업생 기준으로 2024년까지 125명의 노벨상 수상자, 11명의 필즈 메달(Fields Medal), 6명의 튜링상(Turing Award) 수상자, 15명의 영국 총리(British Prime Minister)를 배출하였다. 케임브리지대 내..
2025. 10. 14.
경북 청도 : 호거산(虎踞山) 운문사(雲門寺),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 비구니 사찰, 운문승가대학, 사리암
경북 청도 : 호거산(虎踞山) 운문사(雲門寺),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 비구니 사찰, 운문승가대학, 사리암 운문사(雲門寺)는 경북 청도군 운문면의 호거산(虎踞山)에 위치한 사찰로 560년(신라 진흥왕 21년) 5개의 절 오갑사 중 대작갑사(大鵲岬寺)로 창건되었다. 운문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며, 비구니 사찰로 운문승가대학과 부속 암자로 사리암이 있다. 주요 건축물대웅보전, 비로전, 만세루, 응진전, 관음전, 작압전(鵲鴨殿), 명부전, 오백전, 칠성각, 전향각(손님 거처), 법륜보물 : 보물 제193호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淸道 雲門寺 金堂 앞 石燈) 보물 제208호 - 청도 운문사 동호(淸道 雲門寺 銅壺) 보물 제316호 - 청도 운문사 원응..
2025. 10. 12.
경기도 파주 : 도라전망대(都羅展望臺), 도라산역, 제3땅굴
경기도 파주 : 도라전망대(都羅展望臺), 도라산역, 제3땅굴 도라전망대(都羅展望臺)는 대한민국 육군 1사단이 관할하고 있는 전망대로 비무장 지대(DMZ), 개성 일부, 송악산, 자유의 마을 일부 등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전망대 근처에는 1978년 10월 발견된 제3땅굴과 도라산역과 도라산 평화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제3땅굴은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에 있는 남침땅굴로 DMZ에서 남쪽 400m까지 침투한 땅굴이다. 1974년 9월 5일 귀순한 북한의 김부성의 첩보를 근거로 1975년부터 문산 지역에 대한 시추작업을 하던 중, 1978년 6월 10일 현장 탐사반이 땅굴 시추공에서 폭음과 함께 물길이 새는 것을 발견하였다. 당시 전두환 제1보병사단장이 보고받아 굴착 공사를 실시하였고, 제3땅굴이 발견..
2025. 10. 11.
판문점(板門店), 공동경비구역(共同警備區域, JSA) : 정전협정, 통일각, 돌아오지 않는 다리, 도끼만행사건, Panmunjom, The Joint Security Area
판문점(板門店), 공동경비구역(共同警備區域, JSA) : 정전협정, 통일각, 돌아오지 않는 다리, 도끼만행사건, Panmunjom, The Joint Security Area 판문점(板門店)은 1953년 정전협상이 이루어진 곳으로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선적리에 위치해 있다. 1953년 7월 27일의 정전협정 조인 장소는 현재의 판문점보다 북쪽으로 1.5km 정도 떨어진 장소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의 판문점은 정전협상 이후 한국전쟁 포로 교환업무를 맡게 된 중립국 인도군의 막사와 포로 교환 장소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판문점은 정전협정 이후 유엔군과 조선인민군의 공동경비구역으로 지정되어 공동경비구역(共同警備區域, JSA)으로 불린다. 이 곳은 1976년까지는 경계선 없이 양측 경비병과 출입자들이 자유롭..
2025. 10. 11.
울릉도(鬱陵島) : 도동항, 저동항, 삼선암, 관음도, 연도교, 대풍감 해안절벽, 해안산책로
울릉도(鬱陵島) : 도동항, 저동항, 삼선암, 관음도, 연도교, 대풍감 해안절벽, 해안산책로
2025. 10. 10.
울릉도(鬱陵島) : 관음도, 연도교, 울릉도와 관음도를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 연도교, 2012년 준공, 길이는 140m, 엘리베이터와 계단 이용, 40분 탐방로
울릉도(鬱陵島) : 관음도, 연도교, 울릉도와 관음도를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 연도교, 2012년 준공, 길이는 140m, 엘리베이터와 계단 이용, 40분 탐방로
2025. 10. 10.
독도(獨島) : 독도 촛대바위, 삼형제굴바위, 독립문바위, 선착장 준공비
독도(獨島) : 독도 촛대바위, 삼형제굴바위, 독립문바위, 선착장 준공비 https://ko.wikipedia.org/wiki/%EB%8F%85%EB%8F%84 독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도(獨島)는 동해의 남서부, 울릉도와 오키 제도 사이에 위치한 섬 또는 암초이다. 리앙쿠르 암초(영어: Liancourt Rocks)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동도와 서도를ko.wikipedia.orgpublic domain : 대한민국이 1954년에 발행한 독도 우표 독도 촛대바위 , 삼형제굴바위 독도 독립문 바위 독도(獨島) 선착장 준공비
2025.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