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 벚나무, 산벚나무, 벚꽃(cherry blossom), 벚 나무 열매 버찌(cherry) : 학명 Prunus
벚, 벚나무, 산벚나무, 벚꽃(cherry blossom), 벚 나무 열매 버찌(cherry), 만첩개벚(겹벚꽃) : 벚 학명 Prunus, 만첩개벚 학명 Prunus verecunda var. semiplena (Nakai) 만첩개벚(겹벚꽃)
2015. 4. 12.
화살나무,홋잎나무, 참빗나무, 참빗살나무, 챔빗나무, 귀전우(鬼箭羽), 신전목(神箭木), 열매 : winged spindle, winged euonymus, burning bush
화살나무,홋잎나무, 참빗나무, 참빗살나무, 챔빗나무, 귀전우(鬼箭羽), 신전목(神箭木), 열매 : winged spindle, winged euonymus, burning bush 화살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귀신을 쏘는 화살이라는 의미에서 귀전우(鬼箭羽), 또는 신전목(神箭木)라고도 불린다. 월곡동 월곡산 팔각정 부근의 화살나무
2015. 4. 12.
에키네시아(Echinacea), 자주천인국, 드린국화, 자주루드베키아 : 학명 Echinacea, 영어속명 Purple coneflower
에키네시아(Echinacea), 자주천인국, 드린국화, 자주루드베키아 : 학명 Echinacea, 영어속명 Purple coneflower 에키네시아는 국화과 해바라기족 에키네이사속으로 하위종으로는 자주천인국과 드린국화가 있으며 루드베키아와 유사하여 자주루드베키아라고 불리기도 한다. 에키네시아(Echinacea)는 루드베키아(Rudbeckia)와 같이 천인국으로 불리는데 루드베키아는 노란색의 꽃을 가지고 있으며 원추천인국으로 불리고, 에키네시아는 자주색(보라색)의 꽃 색깔을 갖고 있어 자주천인국으로 불린다. 루드베키아 링크 blog.daum.net/sfeelbug/8613143 루드베키아 (Rudbeckia) : 천인국, 영어. Black-eyed Susan, Yellow Daisy 루드베키아 (Rudb..
2014. 10. 5.
국화속(菊花屬, Chrysanthemum) : 국화(菊花), 들국화(野菊花), 구절초(九折草, 九節草), 쑥부쟁이, 벌개미취 : 간혹 mum, Chrysans로도 불림
국화속(菊花屬, Chrysanthemum) : 국화(菊花), 들국화(野菊花), 구절초(九折草, 九節草), 쑥부쟁이, 벌개미취 : 간혹 mum, Chrysans로도 불림 Chrysanthemums [krɪˈsænθəməm] 국화속(菊花屬, Chrysanthemum)은 국화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를 포함한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이다. 상용으로 널리 쓰이는 국화는 국화속의 잡종이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는 산구절초를 이르는 말로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야생화이다. 중국에서는 산국(山菊), 자화야국(紫花野菊)으로 불리며 일본에서는 조선국(朝鮮菊)으로 불린다고 한다. 국화과(Compositae)는 북반구 및 아프리카 등 전세계에 2만여 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2014. 10. 5.
민들레(Dandelion), 민들레 홀씨 : 씨앗(seed), 강모(갓털, 관모, pappus), 생체모방(biomimicry), 낙하산, 배드민턴 셔틀콕(shuttlecock)
민들레(Dandelion), 민들레 홀씨 : 씨앗(seed), 강모(갓털, 관모, pappus), 생체모방(biomimicry), 낙하산, 배드민턴 셔틀콕(shuttlecock) 민들레는 학명이 Taraxacum platycarpum 으로서 Dadelion 종의 다년생 풀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서양민들레는학명이 Taraxacum officinale로서 영어로 Dandelion으로 불린다. 서양민들레는 유럽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 귀화한 식물이다. 꽃말은 '감사의 마음'이다.재미있는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민들레 홀씨는 홀씨가 아니라는 점이다. 민들레와 함께 떠올리는 최고의 연상어는 ‘홀씨’일 것이다. 가수 박미경이 부른 ‘민들레 홀씨 되어’라는 노래 때문일 것이..
2014. 10. 2.
옥살리스(Oxalis), 사랑초(삼각사랑초, 자주사랑초), 괭이밥 - 가짜 클로버(False Shamrock), 자주색 클로버(Purple Shamrock), 사랑초(Love Plant)
옥살리스(Oxalis), 사랑초(삼각사랑초, 자주사랑초), 괭이밥 - 가짜 클로버(False Shamrock), 자주색 클로버(Purple Shamrock), 사랑초(Love Plant) 옥살리스(Oxalis)는 그리스어로서 산성(酸性)을 의미한는데 신맛이 나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국내에서는 괭이밥류로 부른다. 고양이가 소화가 안될 때 이 풀을 먹는다고 해서 괭이밥이라고 불린다. 괭이밥은 사랑초라고 불리며 녹색, 붉은색, 자주색 등 색상이 다양하다. 특히 자주색 사랑초는 영어로 가짜 클로버(False Shamrock), 자주색 클로버(Purple Shamrock), 사랑초(Love Plant) 등으로 불린다. 샴락(샴록, 삼록, Shamrock)은 유럽의 세잎 클로버로 아일랜드의 국화이다. 옥살리스는 ..
2014.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