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홍(百日紅), 미니백일홍, 백일초(百日草) : 미니 백일홍은 Zinnia linearis, 키가 큰 일반 백일홍은 Zinnia elegans; 영어속명 youth-and-age, elegant zinnia, India lilac
백일홍(百日紅), 미니백일홍, 백일초(百日草) : 미니 백일홍은 Zinnia linearis, 키가 큰 일반 백일홍은 Zinnia elegans; 영어속명 youth-and-age, elegant zinnia, India lilac 백일홍(百日紅)은 국화과에 속하는 멕시코 원산의 관상용 한해살이 풀로 백일 동안 붉게 핀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 백일홍은 원래 보잘 것 없는 잡초였으나 진(Zinn)이라는 독일인이 발견하여 화훼가들이 개량한 꼿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이재위(李載威)의 '물보(物譜)'에도 기록이 있는 정도로 1800년 이전부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백일홍 : Zinnia elegans 미니백일홍 : Zinnia linearis
2015. 11. 12.
미국담쟁이덩굴, 미국담쟁이, 양담쟁이(오엽) : 영어속명 American Ivy, Five-leaved Ivy, Virginia Creeper, Woodbine
미국담쟁이덩굴, 미국담쟁이, 양담쟁이(오엽) : 영어속명 American Ivy, Five-leaved Ivy, Virginia Creeper, Woodbine 미국 담쟁이 덩굴은 잎이 5개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며 영어속명으로 미국 아이비, 다섯잎 아이비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2015. 10. 29.
난초꽃, 황룡금 : 난향천리(蘭香千里) * 화향백리,주향천리, 인향만리 * 화향천리행 인덕만년훈 * 난향백리, 묵향천리, 덕향만리
난초꽃, 황룡금 : 난향천리(蘭香千里), 화향백리(花香百里), 주향천리(酒香千里), 인향만리(人香萬里), 난향백리(蘭香百里), 묵향천리(墨香千里), 덕향만리(德香萬里) 난향천리(蘭香千里)라는 말이 있습니다. '난초향기는 천리를 간다'는 뜻이지요. * 화향백리(花香百里), 주향천리(酒香千里)..
2015. 10. 23.
클레로 덴드롬, 클레로 덴드럼, 덴드롱, 덴드륨, 덴드롱 : 학명 Clerodendrum, 영어속명 glorybower, bagflower and bleeding-heart
클레로 덴드롬, 클레로 덴드럼, 덴드롱, 덴드륨, 덴드롱 : 학명 Clerodendrum, 영어속명 glorybower, bagflower and bleeding-heart 클레로 덴드롬은 클레로덴드론속(누리장나무속) 식물로 덴드럼, 덴드륨, 덴드롱 등으로 불리며 영어속명으로 Glory-bower로 불린다. 덴드롬은 열대 아프리카 원산의 덩굴성 관목으로 우리나라에도 3 종이 자생한다고 한다.
2015. 6. 7.
쥐똥나무(border privet, Amur privet), 무늬 쥐똥나무, 황금쥐똥나무, 황금무늬쥐똥나무 : 흰꽃, 타원형의 검은 열매 - 한방약재로 사용
쥐똥나무(border privet, Amur privet), 무늬 쥐똥나무, 황금쥐똥나무, 황금무늬쥐똥나무 : 흰꽃, 타원형의 검은 열매 - 한방약재로 사용 쥐똥나무(border privet, Amur privet)는 한국, 일본, 중국 북부 등에 살고 있는 고유종으로 산기숡에 저절로 자라며 울타리 나무로 심기도 한다. 9-10월에 타원형의 검은 열매가 쥐똥처럼 열리기 때문에 쥐똥나무라고 부른다. 쥐똥나무 열매는 수랍과(水蠟果)라고 부르며, 강장, 지혈, 지한(止汗)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신허(腎虛), 자한(自汗)·변혈 등을 치료하는 한방 약재로 사용된다. 한양대 대운동장과 88체육관 앞 울타리를 형성하고 있음 무늬 쥐똥나무
2015. 6. 7.
망초(亡草)와 개망초 : 망국초, 왜풀, 개망풀(horseweed, annual fleabane)
망초(亡草)와 개망초 : 망국초, 왜풀, 개망풀(horseweed, annual fleabane) 망초는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 큰망초, 망풀, 잔꽃풀, 지붕초라고도 하며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영어로는 horseweed, Canadian horseweed, Canadian fleabane, coltstail, marestail and butterweed 등으로 불린다. 개망초 역시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 망국초, 왜풀, 개망풀이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annual fleabane, daisy fleabane, eastern daisy fleabane,Sweet Scabious, White Top 등으로 불린다. 망초는 구한말 개항(1876)이후 국내에 유입되었는데, 철도공사를 할 때 철도침목에 ..
201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