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알프스 울산 백가능천(백운산, 가지산, 능동산, 천황산) : 가지산(迦智山, 1240m) 입석대, 쌀바위(1109m)북봉, 중봉, 간월산(1,069m), 신불산(1,159m), 영축산(1,081m), 천황산(1,189m), 능동산, 천마산, ..
영남 알프스 울산 백가능천(백운산, 가지산, 능동산, 천황산) : 가지산(迦智山, 1240m) 입석대, 쌀바위(1109m)북봉, 중봉, 간월산(1,069m), 신불산(1,159m), 영축산(1,081m), 천황산(1,189m), 능동산, 천마산, 천문봉, 상고대(나무서리) : Gajisan (Ulsan), Yeongnam Alps, South Korea 울산, 밀양, 청도의 경계 능동산
2017. 10. 5.
태백산(太白山), 장군봉(將軍峰, 1,567m), 문수봉(文殊峰, 1,517m), 천재단 : Mount Taebaeksan, Korea
태백산(太白山), 장군봉(將軍峰, 1,567m), 문수봉(文殊峰, 1,517m), 천재단 : Mount Taebaeksan, Korea 태백산은 설악산, 오대산, 함백산 등과 함께 태백산맥의 '영산'으로 불린다. 최고봉인 장군봉(將軍峰, 1,567m)과 문수봉(文殊峰, 1,517m), 천재단 등이 있다.
2017. 10. 1.
지리산 국립공원 : 하동(河東) 쌍계사(雙磎寺): Jirisan National Park, Jirisan Mountain, South Korea
지리산 국립공원 : 하동(河東) 쌍계사(雙磎寺): Jirisan National Park, Jirisan Mountain, South Korea 쌍계사(雙磎寺)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 사찰로 신라 성덕왕 21년(722)에 창건되었으며 의상대사의 제자 대비(大悲)와 삼법(三法)이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도를 닦은 곳으로 유명하다. 쌍계사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조선 인조 10년(1632)에 다시 지었으며,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국보 제47호), 하동 쌍계사 승탑(河東 雙磎寺 僧塔, 보물 제380호), 쌍계사대웅전(雙磎寺大雄殿, 보물 제500호), 쌍계사팔상전영산회상도(雙溪寺 八相殿 靈山會相圖보물 제925..
2017. 10. 1.
속리산(俗離山) 문장대(文藏臺)~세조길, 속리산 일출 : Munjangdae, Songnisan National Park, Chungbuk, Korea
속리산(俗離山) 문장대(文藏臺)~세조길, 속리산 일출 : Munjangdae, Songnisan National Park, Chungbuk, Korea 속리산은 충북 보은군, 괴산군, 경북 상주시에 걸쳐 있는 높이 1,058m의 산으로 문장대(文藏臺, 1054m)는 천황봉(1058m) 다음으로 속리산에서 두번째 높은 봉우리로 상주군에 속해있다. 세조길은 1450년경 조선의 7대왕 세조가 직접 속리산을 왕래하던 길로, 세조가 문장대에서 문신들과 시문을 읊었다고해서 문장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오래된 문장대 표지석은 보은군에서 세운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문장대 표지석은 경북상주시에서 설립한 것으로 보인다.
2017. 9. 16.
설악산 비룡폭포, 천왕성폭포, 육담폭포, 용소폭포 : Biryong waterfall, Seorak Mt., Korea
설악산 비룡폭포, 천왕성폭포, 육담폭포, 용소폭포 : Biryong waterfall, Seorak Mt., Korea
2017. 9. 3.
설악산, 울산바위(흔들바위), 미시령 : Ulsanbawi(Rock), Heundeulbawi(Rock),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설악산, 울산바위(흔들바위), 미시령 : Ulsanbawi(Rock), Heundeulbawi(Rock),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새벽
2017. 9. 3.
강원도 동해(東海) : 두타산, 무릉계곡, 용추폭포(頭陀山, 武陵溪谷, 龍湫瀑布), 베틀바위, 만경대, 쌍폭포, 촛대바위, Yongchu waterfall, Mureung Valley, Dutasan mountain mt., Korea
강원도 동해(東海) : 두타산, 무릉계곡, 용추폭포(頭陀山, 武陵溪谷, 龍湫瀑布), 베틀바위, 만경대, 쌍폭포, 촛대바위, Yongchu waterfall, Mureung Valley, Dutasan mountain mt., Gangwon-do, Korea 무릉계곡은 강원도 동헤시에 소재한 두타산(1,353m)과 청옥산(1,403.7m)에서 흘러 내리는 물로 형성된 계곡으로서 호암소로부터 시작하여 약 4km 상류 용추폭포가 있는 곳까지를 말한다. 무릉도원과 같다고 하여 무릉계곡으로 불린다.
2017. 8. 17.
속리산(俗離山) 세조길 (법주사∼세심정, 2.35km) 가을 단풍 명소 : Songnisan National Park, Chungbuk, Korea
속리산(俗離山) 세조길 (법주사∼세심정, 2.35km) 가을 단풍 명소 : Songnisan National Park, Chungbuk, Korea 속리산은 충북 보은군, 괴산군, 경북 상주시에 걸쳐 있는 높이 1,058m의 산으로 문장대(文藏臺, 1054m)는 천황봉(1058m) 다음으로 속리산에서 두번째 높은 봉우리로 상주군에 속해있다. 세조길은 1450년경 조선의 7대왕 세조가 직접 속리산을 왕래하던 길로, 세조가 문장대에서 문신들과 시문을 읊었다고해서 문장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2017. 8. 13.
지리산(智異山) : 법계사(法界寺), 천왕봉(天王峰, 1915m), 유암폭포 : Beobgyesa (temple) & Cheonwangbong(peak), Jirisan Mountain, Korea
지리산(智異山) : 법계사(法界寺), 천왕봉(天王峰, 1915m), 유암폭포 : Beobgyesa (temple) & Cheonwangbong(peak), Jirisan Mountain, Korea 지리산국립공원 : 중산리탐방안내소 → 칼바위 → 유암폭포 → 장터목대피소 → 천왕봉 → 법계사 중산리(中山里)는 지리산의 중간쯤에 위치한 곳으로 지리산 등정의 출발지로 이용되어 왔으며, 지리산의 최고봉은 천왕봉이다. 중산리 계곡은 남강을 거쳐 낙동강으로 이어지는 덕천강의 발원지로서 공원매표소를 지나면 천왕봉 등산로인 중산리계곡의 주요 골짜기인 법천골을 만난다. 법천계곡에는 법천폭포, 유암폭포 등이 있다. 천왕봉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해발 1,400m에 544년 조사(祖師) 연기(緣起)가 창건한 법계사가 ..
2017. 7. 30.
속리산 말티고개(말티재), 전망대, 백두대간 속리산 관문, 마루금 생태축 터널 : 白頭大幹 俗離山 關門, Songnisan mountain, Malti pass, Korea
속리산 말티고개(말티재), 전망대, 백두대간 속리산 관문, 마루금 생태축 터널 : 白頭大幹 俗離山 關門, Songnisan mountain, Malti pass, Korea보은 속리산 "한남금북정맥 말티재 마루금의 생태축 복원 터널" 1924년 일제 강점기 때 끊긴 말티재 마루금의 생태축이 2017년 복원되어 93년 만에 생태축이 연결됐다.속리산 방향 : 1층 터널에 ‘자비성’, 2층에 ‘백두대간 속리산 관문’ 현판 제작, 현판 왼쪽에 법주사 ‘팔상전’, 오른쪽에 ‘쌍사자석등’ 배치보은 방향 : 1층 터널위에 ‘보은성’, 2층 좌측 벽에 매미 날개형 ‘보은대교’, 우측에는 ‘삼년산성’ 배치
2017.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