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 백운산(白雲山, 1,222m) : 소백산맥, 호남산맥, 섬진강 550리 물길, 고로쇠 수액, 지리적표시 등록, 상봉, 억불봉, 노랭이봉
전남 광양 백운산(白雲山, 1,222m) : 소백산맥, 호남산맥, 섬진강 550리 물길, 고로쇠 수액, 지리적표시 등록, 상봉, 억불봉, 노랭이봉전남 광양시 옥룡면 동곡리
2021. 8. 1.
삼태봉(三台峰, 629m) : 경주 조양산, 울산 동대산(東大山) 최고봉, 경주 풍력단지, 철쭉 자생지
삼태봉(三台峰, 629m) : 경주 조양산, 울산 동대산(東大山) 최고봉, 경주 풍력단지, 철쭉 자생지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울산 북구 철쭉 자생지, 진달래 산 경주 풍력단지
2021. 7. 4.
밀양8경(八景) 중 2경 : 시례 호박소(詩禮 臼淵), 호박소, 주먹바위, 구연(臼淵) - 백운산, 재약산, 천황산, 가지산
밀양8경(八景) 중 2경 : 시례 호박소(詩禮 臼淵), 호박소, 주먹바위, 구연(臼淵) - 백운산, 재약산, 천황산, 가지산 호박소는 10여m 높이에서 떨어지는 폭포가 만든 못으로 방앗공이로 찧을 수 있게 우묵하게 파인 돌인 '호박'처럼 생긴 '못'이라고 해서 '호박소'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절구(臼)와 못(淵)의 합성어로 구연(臼淵)이라고 부른다. 호박소가 밀양시내에서 약 35㎞ 떨어진 산내면 남명리 시례마을에 속해있어 시례구연(詩禮臼淵)이라고 부른다. 동국여지승람에 구연기우소(臼淵祈雨所)로 기록되어 있으며 호박소에서 옥황상제에게 벌을 받아 용이 못된 이무기가 살고 있는데 다른 짐승의 머리를 넣으면 그것을 씻어 내고자 물을 뿜어내 가뭄이 해결됐다는 이야기가 있어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로 사용되었다는 기록..
2021. 5. 7.
전남 해남군(海南郡) : 땅끝마을 전망대, 희망공원 소원성취다리, 두륜산(頭輪山, 703m), 천년고찰 대흥사(大興寺), 달마산(達馬山, 489m), 도솔봉, 달마봉, 가련봉(703m), 노승봉(685m), 고계봉(高髻峰..
전남 해남군(海南郡) : 땅끝마을 전망대, 희망공원 소원성취다리, 두륜산(頭輪山, 703m), 천년고찰 대흥사(大興寺), 달마산(達馬山, 489m), 도솔봉, 달마봉, 가련봉(703m), 노승봉(685m), 고계봉(高髻峰, 638m) 두륜산 가련봉(703m), 노승봉(685m)
2019. 2. 19.
재약산 (載藥山, 1,108m), 천황산, 정각산, 미륵봉, 실혜산, 정승봉, 구천산 :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경계
재약산 (載藥山, 1,108m), 천황산, 정각산, 미륵봉, 실혜산, 정승봉, 구천산 :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경계
2017. 11. 2.
충남 홍성군(洪城郡) : 오서산(烏棲山,791m, 보령, 홍성, 청양), 용봉산(龍鳳山, 381m, 홍성, 예산)
충남 홍성군(洪城郡) : 오서산(烏棲山,791m, 보령, 홍성, 청양), 용봉산(龍鳳山, 381m, 홍성, 예산) 오서산은 성주산에 이어 충남 제2의 고봉으로서 천수만 일대를 항해하는 배들에게 등대 역할을 한다고 하여 '서해의 등대산'으로 불린다. 오서산은 까마귀가 많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가을 억새로 유명하다. 오서산 능선을 따라 억새 사이로 서해안 바다를 볼 수 있는 멋진 곳이다. 오서산은 충남 보령, 홍성, 청양 3개 지자체에 걸쳐 있어 정상석이 두개나 있는데, 보령군과 홍성군 풍천읍에서 1km 이상 떨어진 곳에 정상석을 각각 세웠다. 용봉산(龍鳳山)은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덕산면 상하리에 걸쳐 있으며, 기암절벽과 천혜의 자연경관을 갖춰 제2의 금강산으로 불린다. 오서산 용봉산
2017.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