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취, 취나물, 白雲草, 白山草, 東風菜, 山白菜, 白之草 : 학명 Doellingeria scabra, 영어속명 Rough aster
참취, 취나물, 白雲草, 白山草, 東風菜, 山白菜, 白之草 : 학명 Doellingeria scabra, 영어속명 Rough aster 참취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국화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이다. 취나물은 참취의 어린순으로 잎과 줄기는 생채, 묵나물 등 나물로 이용된다.
2021. 3. 30.
광대나물, 보개초(寶蓋草), 등룡초(燈龍草), 풍잔(風盞), 연전초(連錢草), 접골초(接骨草), 코딱지나물, 코딱지풀 : 학명 Lamium amplexicaule, 영어속명 henbit dead-nettle, henbit, greater henbit
광대나물, 보개초(寶蓋草), 등룡초(燈龍草), 풍잔(風盞), 연전초(連錢草), 접골초(接骨草), 코딱지나물, 코딱지풀 : 학명 Lamium amplexicaule, 영어속명 henbit dead-nettle, henbit, greater henbit 광대나물은 유라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꿀풀과의 두해살이풀이다. 꽃잎이 아래위 입술모양이라 순형화(脣形花)라고 부른다. 꽃을 받치고 있는 잎의 모양이 광대들이 입는 옷과 유사하다고 해서 광대나물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코딱지 처럼 생겼다고 해서 코딱지나물이라고도 불린다. 영어속명은 암탉(hen)이 열매를 쪼아먹는다고 해서 henbit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쐐기가 없는 풀이라는 의미로 dead-nettle로 불린다.
2021. 3. 28.
부처꽃, 털부처꽃 : 부처꽃 학명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털부처꽃 학명 Lythrum salicaria 영어속명 purple loosestrife, spiked loosestrife, purple Lythrum
부처꽃, 털부처꽃 : 부처꽃 학명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털부처꽃 학명 Lythrum salicaria 영어속명 purple loosestrife, spiked loosestrife, purple Lythrum 부처꽃과(Lythraceae, 리트라케아이)는 세계적으로 500~600 여 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부처꽃, 좀부처꽃, 털부처꽃 등 10여 종이 있다. 부처꽃속과 털부처꽃속은 부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와 꽃받침에 털이 있으면 털 부처꽃이다. 부처꽃은 부처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자에 따라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의 아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2021. 3. 28.
미국 낙상홍 : 학명 Ilex verticillata, 영어속명 winterberry, black alder, Canada holly, coralberry, fever bush, Michigan holly, winterberry holly
미국 낙상홍 : 학명 Ilex verticillata, 영어속명 winterberry, black alder, Canada holly, coralberry, fever bush, Michigan holly, winterberry holly 미국낙상홍은 겨울 딸기라는 이름을 가진 감탕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미국의 동부 북미와 캐나다 남동부 미국 남부 앨라배마에까지 폭넓은 지역에 자라고 있으며 근래에 국내에 도입되었다. 낙상홍에 비해 미국 낙상홍은 열매가 좀 더 많이 달리며 1.5배 정도 더 굵다. 또한 잎이 크며 잎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잎의 양면, 잎자루, 잎맥 등에 짧은 털이 있다. 유사종으로 대팻집나무, 민대팻집나무, 낙상홍, 먼나무 등이 있다. 낙상홍(落霜紅)은 잎이 떨어지고..
2021. 3. 28.
은쑥, 은빛쑥, 아지랑이은쑥, 난쟁이은쑥 : 학명 Artemisia schmidtiana, 영어속명 Silver Mound Artemisia, Angel's Hair, Silver-Hair
은쑥, 은빛쑥, 아지랑이은쑥, 난쟁이은쑥 : 학명 Artemisia schmidtiana, 영어속명 Silver Mound Artemisia, Angel's Hair, Silver-Hair 일본 사할린 원산으로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21. 3. 26.
어성초(魚腥草), 약모밀, 중약초, 즙채, 십약 : 학명 Houttuynia cordata fish mint, fish leaf, rainbow plant, chameleon plant, heart leaf, fish wort, Chinese lizard tail
어성초(魚腥草), 약모밀, 중약초, 즙채, 십약 : 학명 Houttuynia cordata fish mint, fish leaf, rainbow plant, chameleon plant, heart leaf, fish wort, Chinese lizard tail 약모밀은 '물고기 비린내가 나는 풀'이라는 의미로 어성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어속명으로도 물고기 비린내가 난다는 의미에서 fish mint, fish leaf, fish wort 등으로 불린다. 약모밀은 후추목의 삼백초과(三白草科 Saururaceae), 약모밀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21. 3. 26.
앵두, 앵도, 앵두나무, 앵도나무(櫻桃-) : 학명 Prunus tomentosa 영어속명 Nanjing cherry, Korean cherry, Manchu cherry, downy cherry, Shanghai cherry, Ando cherry, mountain cherry, Chinese bush cherry, Chinese dwarf cherry.
앵두, 앵도, 앵두나무, 앵도나무(櫻桃-) : 학명 Prunus tomentosa 영어속명 Nanjing cherry, Korean cherry, Manchu cherry, downy cherry, Shanghai cherry, Ando cherry, mountain cherry, Chinese bush cherry, Chinese dwarf cherry. 장미과, 벚나무속, 자두나무아속, 앵도나무종
2021. 3. 26.
워킹 아이리스, 학란, 네오마리카 그라실리스 : 학명 Neomarica gracilis, 영어속명 Brazilian Walking Iris, Walking Iris, Fan iris
워킹 아이리스, 학란, 네오마리카 그라실리스 : 학명 Neomarica gracilis, 영어속명 Brazilian Walking Iris, Walking Iris, Fan iris 붓꽃과의 식물로 남미 멕시코와 브라질이 원산지이다. 일년에 한번 딱 18시간만 피어있는 꽃이라고 한다.
2021. 3. 26.
참꽃나무, 제주 참꽃나무, 신달위, 박달낭, 신달레, 신위(제주) : 학명 Rhododendron weyrichii Maxim
참꽃나무, 제주 참꽃나무, 신달위, 박달낭, 신달레, 신위(제주) : 학명 Rhododendron weyrichii Maxim 참꽃나무는 진달래과 진달래속 참꽃나무종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10여종의 로도덴드론속 식물 중 가장 크게 자라는 나무이다. 진달래나 철쭉류에 비해 꽃이 크고 높게 자라서 남성적인 느낌이 드는 진달래꽃이라 하여 `참꽃나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가 유일한 자생지이며 일본에도 참꽃나무가 분포한다.
2021. 3. 26.